정점과 간선

정점(Vertex)

  • 노드라고 불리며 그래프를 형성하는 기본 단위다.
  • 분할할 수 없는 객체이자 으로 표현되는 위치, 사람, 물건 등이 될 수 있다.

간선(Edge)

  • 정점을 잇는 선을 의미한다.
  • 관계 경로 등이 될 수 있다.

예시

  • “어떠한 위치나 어떠한 사람(정점)” 으로부터 “무언가를 통해(간선)“간다.
  • Index(정점)가 길(간선)을 걸어 아파트로(정점) 간다

단방향 간선

  • 남자가 여자를 좋아한다. 여자는 남자를 좋아하지 않는다.(짝사랑)

양방향 간선

  • 남자와 여자가 서로 좋아한다.

그래프 이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호

  • u - 시작점(from)
  • v - 도착점(to)

indegree & outdegree

  • U에서 V로 가는 경로가 3가지가 있을 때 표현 방법
    -> u의 outdegree(나가는 간선) = 3개

  • V에서 U로 가는 경로가 7가지 있을 때 표현 방법
    -> u의 indegree(들어오는 간선) = 7개

가중치

  • 정점과 정점 사이에 드는 비용을 의미한다
  • 1번노드에서 2번노드까지 가는 비용이 한칸이면 가중치는 한칸이다.

그래프

  •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진 집합이다.

트리

  • 자식노드와 부모노드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무방향 그래프의 일종이자 사이클이 없는 자료구조를 의미한다.

트리의 특징

  • 부모, 자식 계층구조를 가진다. 같은 경로 상에서 어떤 노드보다 위에 있으면 부모, 아래에 있으면 자식 노드가 된다.
  • E = V - 1 이다. 간선수 = 노드수 - 1
  • 임의의 두 노드 사이의 경로는 반드시 있으며 하나밖에 없다.

Leave a comment